금값이 계속 오를까? 국내 금 선물 현물 ETF

최근 디지털 금으로 불리는 비트코인이 역대 최고가를 갈아치우며 고공행진을 하는데 반해 금값은 주춤하고 있다.

하지만 3년간의 차트를 보면 2배 이상 상승하여 너무 비싸다는 의견과 조정 후 재상승할것이라는 의견이 분분한데 ‘박종철의 지식한방’에서 마침 금값 관련 방송을 하기에 정리해 보았다.

금값 전망

과거 금값 하락의 원인: 1980년부터 1999년까지 금값이 하락했던 주된 이유는 미국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과 전 세계적인 금 생산량의 폭발적인 증가 때문

현재 금 시장 상황: 2018년부터 금 생산량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오히려 감소하는 추세이고, 금 탐사 및 개발 비용 증가와 새로운 금광 발견의 어려움 때문임. 또한, 기존 금광의 채굴 환경 악화로 생산 단가가 상승

금 수요 증가: 통화량 증가와 불안정한 경제 상황은 금에 대한 수요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

  • 통화량 증가: 전 세계적으로 통화량(M2)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화폐 가치 하락에 대한 헤지(위험회피) 수단으로서 금의 매력을 높임.
  • 경제 불확실성: 불안정한 국제 정세와 경제 상황 속에서 안전자산으로서의 금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
  • 과거 대비 저평가 가능성: 1980년과 현재의 전 세계 광의 통화량 대비 금 시가총액 비율을 비교하면, 현재 금값이 과거 수준으로 회복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상승 여력이 남아있음

금값 하락의 잠재적 위험 :

  • 금값 상승으로 인한 장신구 수요 감소
  • 달러 패권을 유지하기 위한 미국 정부의 개입 가능성
  • 경기 침체로 인한 현금 확보 목적의 금 매도 증가

정리해 보면 장기 전망으로는 만성적인 재정 적자와 지속적인 통화량 증가를 고려할 때 금값 상승 가능성이 높지만 단기간 급등했기에 언제든지 가격 조정이 날 수 있어 신중하라는 결론이였다.

금선물, 금현물 ETF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요즘 연금저축 또는 퇴직연금으로 ETF 를 많이 매수하고 나도 둘 다 계좌를 굴리고 있기에 금 ETF 를 모으고 있다.

대표적인 상품중 ACE KRX금현물 ETF 의 경우 KRX가 발표하는 금현물지수를 기초지수로 운영하며 총보수가 0.5%로 적다.

KODEX 골드선물(H)는 뉴용상품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금선물 가격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S&P GSCI Gold Total Return 지수를 기준으로 하며 환헤지(H)가 적용되어 총보수률이 0.68%로 조금 더 높다.

금선물 ETF 는 실제 금을 보유하는 대신 금선물계약에 투자하여 금 가격을 추종하기에 선물계약을 계속 교체할때마다 롤오버 비숭요 발생해 수익률이 깍이고 실제 금시세와 괴리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금현물 ETF는 비교적 정확하게 금 가격을 추종하며 선물 롤오버에 따른 비용 손실이 없기 때문에 장기 투자시에는 보수도 조금 더 저렴한 금현물ETF가 유리하다.

다만 KODEX 골드선물(H) 의 경우는 환헤지 상품으로 요즘같이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는 경우 수익률이 조금 더 높을 수 있으니 알아서 판단할 것…

개인적으로는 금값이 너무 많이 상승했고 지난 1년간 각국의 중앙정부나 개인 가릴 것 없이 엄청나게 금을 사모으는 시기였지면 앞으로 이정도의 상승기울기는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

다만 포트폴리오 내에 5~10% 정도의 금을 보유하는 것은 계좌 안전성 측면에서 방어 수단이 될 수 있기에 조정 받을 때 일정 부분 매수할 예정이다.


✳️ 금이 안전자산? 금 가격 상승이유와 금 투자 방법
✳️ 5월 첫째주 국내 ETF 수익률 – 경기방어주 강세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