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화성 파라마운트 IP 국제테마파크 개발 (feat. 세계 테마파크 순위)

화성 파라마운트 테마파크


과거 인천 송도에서 진행하던 파라마운트 테마파크가 무산되고, 2018년 인천공항 인근 영종도에 인스파이어 리조트의 일부로 파라마운트 무비파크 코리아가 다시 추진되었으나 결국은 완전히 무산되고 인스파이어 리조트만 완공되었는데요.

이번에는 신세계 그룹과 손을 잡고 파이마운트 IP를 이용한 테마파크 유치 계획이 발표되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화성 파라마운트 테마파크

화성국제테마파크

신세계 그룹이 대부, 미션임파서블 등을 제작한 미국 파라마운트와 손잡고 경기도 화성 국제테마파크 사업지에 대규모 복합 리조트형 테마파크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는데요.

총 사업비 4조 6000억원대의 초대형 개발 프로젝트로 화성시 송산면 일원 약 127만평 부지에 36만평 규모의 엔터테인먼트 시설 및 스타필드, 골프장, 호텔등을 지을 계획이며 2029년 완공 예정이라고 합니다.

화성 파라마운트 테마파크


화성에는 2007년부터 테마파크 유치를 추진했는데, 유니버셜 스튜디오가 들어설 계획이였지만 토지보상 문제로 지지부진하다가 2017년 완전 무산된 적이 있었죠.

이러한 대형 프로젝트는 실제로는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벌써 여러번 발표되었다가 취소된 국내 대형테마파크 계획처럼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화성 파라마운트 테마파크

파라마운트 IP

화성 파라마운트 테마파크


파라마운트는 미국의 글로벌 미디어 그룹으로 방송사 CBS를 미롯해, MTV, 파라마운트 픽처스, 파라마운트 플러스등을 운영중인데요.

한국에도 잘 알려진 “스폰지밥” “타이타닉” “대부” “미션임파서블” “닌자 거북이” “슈퍼소닉” “스타트렉” “트랜스포머”등 다양한 작품들을 소유하고 있어 한국에도 드디어 세계적인 테마파크가 들어서게 되는거죠.

유니버셜 스튜디오는 중국이나, 일본등의 다수 국가에 있지만 이번 한국에 지어질 파라마운트 스튜디오는 최초이고 한류 컨텐츠와 결합하여 더 큰 시너지 효과를 내지 않을까요?

화성 파라마운트 테마파크

전세계 테마파크 순위

Themed Entertainment Association (TEA) 에서 발표한 방문자수 기준으로 전세계 테마파크 순위를 발표했는데요. 그 순위를 살펴보면

1. 매직 킹덤 (월트 디즈니월드, 플로리다, 미국) – 1,772만
2. 디즈니랜드 파크 (애너하임, 미국) – 1,725만명
3. 유니버셜 스튜디오 재팬 (오사카, 일본) – 1,600만명
4. 도쿄 디즈니랜드 (도쿄, 일본) – 1,510만명
5. 상하이 디즈니랜드 (상하이, 중국) – 1,400만명
6. 치멀롱 오션 킹덤 (주하이, 중국) – 1,252만명
7. 도쿄 디즈니씨 (도쿄, 일본) – 1,240만명
8. 엡콧 월트 디즈니월드 (플로리다, 미국) – 1,198만명
9. 디즈니랜드 파리 (파리, 프랑스) – 1,040만명
10. 디즈니 할리우드 스튜디오 (플로리다, 미국) – 1,030만명
11. 유니버셜 아일랜드 오브 어드벤쳐 (올랜도, 미국) – 1,000만명
12. 디즈니 캘리포니아 어드벤쳐 (애너하임, 미국) – 1,000만
13. 유니버셜 스튜디오 플로리다 (올랜도, 미국) – 975만
14. 유니버셜 스튜디오 할리우드 (플로리다, 미국) – 966만
15. 유니버셜 스튜디오 베이징 (베이징, 중국) – 900만
16. 디즈니 애니멀 킹덤 (플로리다, 미국) – 877만
17. 홍콩 디즈니랜드 (홍콩) – 640만
18. 유로파 파크 (루스트, 독일) – 600만
19. 에버랜드 (용인, 한국) – 588만
20. 월드 디즈니 스튜디오 파크 (파리, 프랑스) – 570만
21. 치멀롱 파라다이스 (광저우, 중국) – 558만
22. 에프텔링 (카츠허벨, 네덜란드) – 556만
23. 롯데월드 (서울, 한국) – 519만
24. 쯔궁 판타와일드 디노 킹덤 (쯔궁, 중국) – 486만
25.먀닝 판타와일드 오리엔탈 헤리티지 (마닝, 중국) – 462

화성 파라마운트 테마파크


그 중에서 아시아권 나라에 디즈니랜드 4개, 유니버셜 스튜디오 2개가 위치해 있고 파라마운트 IP 테마파크는 한개도 없습니다.

이미 포화상태에 차별성이 없는 테마파크보다는 세상에 없는 유일한 테마파크가 한국에 들어서는게 아무래도 관광효과는 더 클 듯 보이는데요.

다만 디즈니나 유니버셜 보다는 파라마운트의 IP 경쟁력이 조금 더 떨어지고 테마파크 경험이 전무하기 때문에 완성도 측면에서는 조금 걱정스럽긴 합니다.

신세계에서는 파라마운트 테마파크를 포함한 스타베이시티의 연간 방문객을 3000만명으로 예상하고 있으니 16~17위 정도의 테마파크가 될 수 있겠네요.

신세계 주가

화성 파라마운트 테마파크


신세계 주가는 2018년 약 47만원의 고점이후 계속 하락 곡선을 그리고 있는데요. 가장 큰 원인은 전통적인 유통시장에서 온라인 이커머스로 빠르게 넘어가는 대응을 잘하지 못한 결과 인데요.

국내에서는 쿠팡의 1위 굳히기와 자본력을 앞세운 중국의 알리나 테무등의 국내시장 침투는 신세계의 성장성을 더욱 의심하게 만들죠.

이번 화성테마파크 조성의 경우 또한 매출이나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막대한 자금을 쏟아으니 시장에서는 오히려 악재로 받아드리는 모습입니다.

✳️한강 노벨문학상 수상 테마 출판주 폭등 (ft. 예스24, 한세예스24홀딩스, 예림당)
✳️5만전자된 삼성전자, 앞으로의 주가 전망은?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