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 정보
장르 : 의학, 코미디, 드라마
공개일 : 2025년 1월24일
공개회차 : 8부작
출연 : 주지훈, 추영우, 하영, 윤경호, 정재광
OTT : 넷플릭스
시청등급 : 15세 이상
설연휴 뭘 볼까 찾아보다가 SNS에서 입소문을 타며 빠르게 퍼지고 있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중증외상센터을 보았는데 이틀만에 완주해버렸습니다.
최근 오징어게임을 빼고는 넷플릭스 오리지널이 흥행에 실패했는데 간만에 한방에 몰아서 볼만한 시리즈가 탄생했네요.
넷플릭스 패트롤에서의 TV show 부문 세계순위는 3위로 2위인 오징어게임과 몇점 차이가 나지 않는군요.

중증외상센터 줄거리

흔히 메디컬 드라마라고 하면 의사 또는 환자와의 로멘스가 포함되어 있지만 중중외상센터는 로멘스를 확 뽑아낸 메디컬 판타지 히어로물이라고 해야하나..
첫 장면부터 폭탄이 터지는 전쟁터에서 주지훈이 오토바이를 타며 난장판을 뚫고 의약품을 전달하는 장면에서 보통의 의학드라마가 아니라고 느꼈습니다.


전장을 누비던 ‘신의손’ 백강혁 (주지훈)이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이끌기 위해 교수로 부임하면서 골든타임을 사수하기 위한 증증외상팀의 긴박한 활약을 담고 있는 드라마인데요.
사람을 살리기 위해서라면 물불안가리며 밀어부치는 백강현과 항문외과의 엘리트 펠로우 양재원 (추영우), 조폭과 같이 깡다구 좋은 간호사 천장미 (하영), 뚝심있는 마취통증의학과 레지던트 박경원 (정재광)을 한팀으로 만들며 사람살리는 중증외상센터를 만들어 가는 모습을 에피소드 형식으로 8편으로 풀어냅니다.


특히 배우들의 연기와 호흡이 찰떡같은데요. 잘 알려지지 않은 배우들이지만 배역의 이미지와 딱 맞게 빠져든 모습으로 넷플릭스에서 배우 출연료가 비싸다고 작품을 줄인다고 하는데 이런 배우들을 더 많이 썼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중증외상센터는 실존인물인 이국종 교수를 모티브로 한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아주대학교병원 권역외상센터에서 근무했으며 닥터헬기 지원을 실현했던 인물인데 국내 중증외상치료의 열악한 현실을 폭로했었죠.
이 드라마를 계기로 다시한번 생명을 살리는 일에 돈의 논리가 끼어들지 않도록 제도화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닥터헬기 현실은?

드라마의 결말에도 나오는 닥터헬기는 중증 응급환자를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특히 육로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 큰 효과를 발휘합니다.
한마다로 날아다니는 엠브런스인데 유지하기 위한 비용은 꽤 높다고 합니다. 소형 헬기가 한달에 30억원, 중형헬기가 40억원 정도의 비용이 든다고 하니 정부와 지자체에서 널리 보급하기에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망설여지긴 합니다.

현재 전국에는 8대의 닥터헬기가 운영중에 있으며 헬기는 병원 소속은 아니고 전액 정부에서 지원하며 항공사가 운용하는 것이라고 하네요.
- 가천대학교 길병원 (인천광역시)
- 목표한국병원 (전라남도 목포시)
- 안동병원 (경상북도 안동시)
-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 (강원도 원주시)
- 단국대학교병원 (충남 천안시)
- 원광대학교병원 (전북 익산시)
- 아주대학교병원 (경기도 수원시)
- 제주한라병원 (제주시)

외상환자의 사망률이 높은 이유는 의사와 병원수 부족이라고 하는데요. 드라마에서도 언급되지만 외상외과의 경우 항시 대기해야 하는 의료진과 시설운영비 등 고정비 지출이 크기에 병원 입장에서는 외상환자 치료를 꺼릴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이때문에 정부는 지역마다 외상환자를 치료하는 권역외상센터를 정해놓고 지원을 하는데요.
다른 과 대비 힘들고 돈도 안되는 외상과에 적극적인 지원과 의대확대도 좋지만 공공의대 설립추진으로 지역의 필수의료를 담당할 의사를 양성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하는게 좋지 않을까 싶다.
✳️ 넷플릭스 영화 파일럿 조정석의 분장쇼, 줄거리 결말 스포 원작 후기
✳️ 영화 하얼빈 안중근과 함께한 실존인물은? (feat. 박정민의 우덕순)